교육자료

교육자료

International
Medical Science Academy Resources

저작권자의 허락 없이 타인의 저작물을 올리실 수 없습니다.

필라테스관련자료 필라테스 이론 05. 원칙
작성일2018-07-19

본문

[5] 필라테스 운동이론의 8가지 원칙

 

5.1. 유연성(Relaxation)

운동의 시작 시 이완으로 스트레스를 줄이고 근의 이용과 집중을 쉽게 한다. 긴장은 운동 전 이미 과도한 작용을 하고 있어 쉽게 지치고 약해지며, 대상운동에 적응하게 되어 부적절하지만 편한 자세를 갖게 한다. 근의 사용법을 배우기전 이완하는 방법을 배워 긴장하는 부분을 알 수 있고 이완할 수 있다. 부적절한 자세의 이완, 집중을 통한 정확한 자세와 유지, 효과적인 움직임으로 손상의 위험을 줄이고, 효율적인 움직임으로 손상의 위험을 줄이고, 효율적인 운동을 가능하게 한다.

 

5.2. 집중(Concentration)

이완은 신체의 인식을 필요로 한다. 신체의 인식은 정신의 집중을 필요로 하게 되는데, 집중이 실패했을 때는 정렬이 상실되고, 잘못된 근육이 사용되므로 균형이 깨지게 된다.

앤드류 포거슨(러던 정형외과의)은 필리테스 운동을 ‘생각하는 사람의 운동’이라 부르며 운동 시 집중을 중요시하며, 음악을 듣거나 대화, 잡지 읽기 등의 집중을 방해하는 일들의 유해성을 지적한다. 운동 중에는 계속 무슨 운동을 하고 있는지, 움직임을 머릿속에 그려보아 어떤 근육이 사용되고 있는지 집중을 해야 한다.

 

5.3. 정렬(Alignment)

각각의 모든 움직임에 주의를 기울여 정확한 정렬을 이루어야 한다. 이것은 필라테스 운동이 치료로서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즉 신체의 과도한 또는 미세한 불균형을 이 정렬로 균형을 이루게 한다. 이 운동에서는 척추의 만곡, 골반의 중립, 머리 그리고 상지와 하지 무게의 균형이 항상 고려된다. 움직임의 양보다 질이 중요하고 정확한 운동을 강조한다.

 

5.4. 중심화(Centring)

주요 목표중 하나가 근력의 틀의 창조이고 모든 운동은 복부의 운동으로 성취된다. 척추를 지지하고 강한 중심을 완성하기 위해 하복부를 훈련시키고, 특히 복횡근과 복사근의 운동을 중요시한다. 복직근은 흉부의 안정성에 작은 역할을 하고 요근도 최소한으로 안정에 작용을 하므로 중요시하지는 않는다. 이상적인 기초는 골반과 척추를 매트에 대하여 압박의 상태 또는 powerhouse 의 근육들에 둘러싸여 자세가 단단히 유지되는 것이다.

 

5.5. 호흡(Breathing)

필라테스 방법의 중심이다. 일반인이 보통 사용하는 상흉부로 들이쉬고 하복부로 내쉬는 것과는 다르다. 운동 중 강한 중앙근의 유지동안 깊은 호흡이 불가능하므로 측부 또는 흉부 호흡과 흉곽의 확장을 이용하여 최대 호흡이 가능하게 한다. 횡격막이 하강하는 것은 허락되나 횡경막보다 측부와 배부로 호흡하도록 유도한다.

각각의 운동은 고유의 호흡패턴을 갖고 있으나 일반적으로, 숨을 참아서는 안되며 적절한 호흡은 코를 통해 들어오고 입을 통해 배출한다. 준비 시 들이쉬고 움직일 때 내쉬고 회복 시 들이쉬며 완전한 흡ㆍ호기를 포함하며 복부 이용한 정확한 타이밍과 확실한 호흡은 숨을 참지 않게 하고, 과도한 긴장을 막는다.

 

5.6. 조절(Con-trol)

조셉 필라테스는 근육을 조절하는 방법을 생각해 냈다. 근육의 조절은 결코 건성의 단순하고 그저 하는 움직임이 아니었다. 그러한 동작들은 바로 쉽게 다치게 되는 원인이 되어 버린다. 헬스운동이나 아크로밧, 댄스 등에서 조절을 하지 않은 움직임을 상상해보라

모든 동작에서 최대의 조절능력을 발휘에서 손상을 막거나 치대의 효율적인 결과를 얻을 수 있다.각각의 움직임은 하나의 기능적인 단위이며 조절능력은 핵심이며 종합결과물을 만든다.

 

5.7. 협응운동(Co-ordination)

협조의 기술은 운동을 향상시키기 위해 정신과 신체가 함께 활동하는 것과 같은 섬세한 조화를 의미한다.

 

5.8. 흐르는 움직임(Flowing Movement)

여러 동작은 쉬운 동작에서 어려운 동작 또는 다음 동작을 위한 준비 단계처럼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모든 동작은 조절되고, 우아하며, 물이 흐르는 듯하고, 강한 중심에서 밖으로 움직이는 운동이고, jerky동작을 피한다. 동작에서 다음 동작으로 바꿀 때 흐르듯 끊기지 않게 진행되어야 한다. 이러한 차별된 동작의 구성으로 관절가동범위 전체를 통해 강화된 근육의 신장, 신장된 근육의 강화가 조화를 이루어 매우 강하고, 유연성 있는 길고 가는 근육을 만들어 낸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International
Medical Science Academy Resources

저작권자의 허락 없이 타인의 저작물을 올리실 수 없습니다.

Total 33건 2 페이지
그누보드5
Copyright © 소유하신 도메인.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