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자료

교육자료

International
Medical Science Academy Resources

저작권자의 허락 없이 타인의 저작물을 올리실 수 없습니다.

필라테스관련자료 필라테스 이론 01. 개념
작성일2018-07-19

본문

[1] 필라테스란?

 

필라테스는 1900년대 초에 독일인 조셉 필라테스에 의해 처음으로 시작된 운동이다.

 

그는 어려서 류마티스, 천식, 결핵 등을 앓으면서 건강해지기 위해 운동을 시작했고, 10대에는 다이빙과 스키선수였으며 이후 체육교사를 거쳐 1912년 영국으로 가서 프로복서로 활동한 이력을 가지고 있다.

 

제 1차 세계대전 시에는 전쟁터의 병영에서 병상에 누운 부상병들의 통증을 완화시키고 근육을 강하게 해주는 운동법을 고안하고 발전시켰다. 이후 조셉 필라테스가 미국으로 이주하면서 이 운동이 미국과 등지로 보급된 것이다.

 

복장과 자세를 보면 일반 스트레칭이나 맨손 체조 같은 느낌이 들 것이다. 움직임을 보면 다소 정적인 것이 요가 같기도 하다. 마인드 컨트롤을 중시하는 동양요가와 서양의 스트레칭이 접목된 것이라고 생각하면 된다.

 

필라테스는 요가와 다르다. 필라테스는 난이도에 따라 동작이 어려워지긴 하지만 그렇다고 해도 요가에서 보여주는 난해한 동작들은 없다. 재활 프로그램으로 시작되었고 현재도 재활 프로그램으로 많이 이용되고 있는 운동이니만큼 마치 서커스를 하는 것 같은 특이한 포즈는 없기 때문이다. 스트레칭을 동해 유연성을 늘리는 것은 요가와 같지만 요가처럼 몸을 웅크리거나 깊숙이 숙이는 자세는 많지 않다. 척추가 휜 환자가 자세 교정을 위해 많이 하는 운동이기 때문에 모델처럼 허리를 곧추세우는 동작이 많다.

 

필라테스는 신체 구조에 똑바른 균형을 유지시켜주고, 통증이나 퇴화 현상과 연관된 자세의 결함을 교정해 준다.

 

필라테스의 처음 동작은 굳어진 근육 조직과 쓰지 않는 관절을 풀어 주는 것이다.

 

이 동작 바로 다음에는 신체 과정으로 넘어가서 자세를 교정해 준다. 이것으로 ‘내적인 자세’에도 영향을 미쳐서 우리의 감정과 사고영역에도 효과를 가져온다. 만일 우리가 외적인 자세를 변화시키면, 우리 주위의 세계와 반대편에 속하는 우리 ‘내적자세’도 변하게 된다. 그래서 지금까지 극복할 수 없을 정도로 보였던 문제들이 갑자기 저절로 해결하곤 하는 예를 종종 볼 수 있다.

 

신체에 나타나는 경색은 점차 반복될수록 생체 에너지(중국식의 치료법에선 기라고 부른다)의 흐름을 방해한다는 건 잘 알려진 사실이다. 요가와 같은 수많은 동양의 운동 훈련이나 수련방법에선 양질의 기를 원만하고 행복한 생을 이루는 기본 요인으로서 중요하게 취급 된다. 대부분의 요가훈련은 신체의 경색과 결함 있는 자세를 교정하는 걸 목적으로 삼고 있다. 필라테스 훈련법도 이와 비슷한 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 규칙적인 훈련을 통해서 신체에 나타나는 경색을 없애고, 신체의 에너지가 잘 흐를 수 있게 몸을 유지 할 수 있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International
Medical Science Academy Resources

저작권자의 허락 없이 타인의 저작물을 올리실 수 없습니다.

Total 33건 3 페이지
그누보드5
Copyright © 소유하신 도메인. All rights reserved.